반응형
2025년 APEC 정상회의는 10월 31일 경주에서 열립니다. 한미 정상회담은 부산 또는 경주 권역에서 조율 중으로, 일정과 논란 배경을 정리했습니다.

2025년은 대한민국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개최하는 해입니다.
이번 회의는 이재명 정부 출범 후 최대 외교 이벤트로, 전 세계 21개 회원국 정상이 한자리에 모이게 됩니다.
하지만 최근 한미 정상회담을 두고 ‘부산에서 열리나, 경주인가’를 둘러싼 혼선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APEC 일정부터 회담 장소 논란의 배경과 의미까지 정리해보겠습니다.

✅ 1. APEC 2025 정상회의 일정 한눈에 보기
| 구분 | 주요 내용 |
| 행사명 | 제32차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
| 기간 | 2025년 10월 27일 (월) ~ 11월 1일 (토) |
| 정상회의 본회의 | 10월 31일(금) ~ 11월 1일(토) |
| 개최지 | 경북 경주시 보문단지 국제회의복합지구 일원 |
| 참석국 | 미국, 일본, 중국, 캐나다, 호주 등 21개 회원국 |
| 주요 의제 | 공급망 안정, 디지털무역, 기후대응, 한반도 평화, 경제안보 협력 |
📍 참고: APEC은 1989년 창설된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 포럼으로, 회원국 GDP 비중이 전 세계의 약 60%에 달합니다.
한국은 2005년 부산 APEC 이후 20년 만에 의장국을 맡게 되었습니다.



🇰🇷 2. 한미 정상회담 일정과 장소 혼선
- 예정일: 2025년 10월 29일 (수)
- 참석자: 이재명 대통령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문제는 회담 장소입니다.
백악관 브리핑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29일 부산으로 이동해 한미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반면, 한국 정부는 “경주 혹은 그 인근에서 열릴 가능성이 높다”며 공식 확정 발표를 유보한 상태입니다.



🏙 3. 왜 ‘부산 vs 경주’ 논란이 생겼을까?
- APEC 공식 개최지는 ‘경주’
정부가 이미 APEC 의장국으로서 경주를 공식 장소로 지정하고 준비 중이었습니다. - 미국 측의 별도 브리핑에서 ‘부산’ 언급
트럼프 측이 부산을 거론하면서 양국 발표 시점이 엇갈려 혼선이 발생했습니다. - 외교적 동선 문제
부산은 김해공항을 통해 직접 입국 가능하고 언론 노출 효과가 높다는 점에서 미국 측이 선호하는 장소입니다.
반면, 한국 정부는 APEC 본회의 일정 연계 및 보안 통제를 위해 경주 인근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결국 양국이 외교적 상징성 vs 행정적 효율성을 조율하는 과정에서 벌어진 ‘부산 vs 경주’ 논란이라 볼 수 있습니다.



💬 4. 외교적 의미와 지역 경제 효과
- 한국의 외교 리더십 부각
20년 만에 의장국으로서 APEC을 주최함으로써 한국의 경제 · 외교 위상이 강화됩니다. - 한미 동맹 재확인
트럼프 행정부 재출범 이후 첫 대면 회담이라는 상징적 의미를 지닙니다. - 지역경제 파급효과
회담 준비 및 관광 수요 증가로 경주 · 부산 양 지역의 숙박, 외식, 교통 업계 활성화가 기대됩니다.
⚠️ 5. 현재 상황 요약
| 구분 | 내용 |
| APEC 정상회의 | 10월 27일 ~ 11월 1일, 경주 개최 확정 |
| 한미 정상회담 | 10월 29일 예정, 장소는 “부산 또는 경주 권역” 조율 중 |
| 정부 입장 | “아직 최종 확정 아님” 입장 유지 |
| 언론 보도 방향 | 미국 측은 ‘부산’ 언급, 한국 측은 ‘경주 인근’ 표현 |
📰 6. 향후 관전 포인트
- 최종 장소 발표 시점
외교 안전 문제 때문에 회담 직전 최종 발표 가능성 높음. - 한중 정상회담 병행 여부
APEC 주간 중 한중 회담도 예정되어 있어 한반도 외교의 균형 관리가 핵심 이슈. - 부산의 상징성 활용 여부
2030 세계박람회 유치 무산 이후, ‘부산’이 국제무대 홍보 도시로 재부상할 지 관심 집중.
🧭 정리 요약
- APEC 정상회의 : 10월 31일 ~ 11월 1일, 경주 확정
- 한미 정상회담 : 10월 29일 예정, 부산 vs 경주 논란 조율 중
- 외교 의미 : 20년 만의 한국 의장국 복귀 + 한미 동맹 강화 상징
- 지역경제 효과 : 부산 · 경주 숙박 · 관광 활성화 기대
반응형